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문제풀이 닭이 먼저일까 계란이 먼저일까?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공부할 때 항상 드는 생각이다. 개념을 먼저 학습해도 실전풀이에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문제부터 풀자니 어떤 개념을 활용하는건지 도저히 감히 잡히지를 않는다. 그래프를 탐색할 때는 BFS보다 DFS가 주로 효율적이라고 하지만 공부만큼은 BFS로 하는 게 맞는 것 같다. 문제를 보면서 그때그때 필요한 내용을 학습해서 문제풀이를 하는 게 도움이 되었다. 오늘 처음 트리 순회 문제를 풀었다. 깊이우선탐색을 활용한 문제였다. 개념과 함께 코드로 구현해야만 문제를 풀 수 있었다. 저번 티타임 때 코치님이 프로그램은 돌아가야만 프로그램이라는 말을 공유해주셨는데 정말 딱 맞다. 아무리 머릿 속에 정리가 되어 있어도 현실에 구현하지 못..
CSAPP 1장 마무리 CSAPP 1장을 마무리했다. 1장 후반부는 메모리의 계층구조, 운영체제 개론, 네트워크, 암달의 법칙, 동시성과 병렬성에 대한 내용이었다. 캐시메모리 실제세계에서는 큰 물체는 굼뜨고 작은 물체는 빠른 경향이 있다. 컴퓨터의 세계도 마찬가지다. 하드디스크는 용량이 큰 대신에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반대로 메모리는 크기가 작은 대신에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한다. 프로세서는 더욱 더 빠르게 전달한다. 하지만 컴포넌트 하나가 빠르다고 해서 시스템 전체가 빨라지지는 않는다. 시스템의 속도는 결국에는 가장 느린 컴포넌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기 때문이다. 하드디스크의 경우, 작업에 따라 배제를 할 수 있지만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그렇지 않다. 게다가 프로세서는 빠르게 개발되어..
시간 배분 0800 - 0845: 오늘 계획 세우기 0900 - 1200: 키워드 공부 - 재귀알고리즘 정리 완료 - 큐 정리 완료 - 하노이탑 문제 정리 완료1200 ~ 1330: 랜덤런치 1330 - 1630: 키워드 공부 - 정렬 알고리즘 개론 정리 완료 - 버블정렬 정리 완료 - 선택정렬 정리 완료1645 - 1800: 운동 - 가슴운동(플라이, 벤치, 덤벨, 플라이(아래)) - 사레레, 싯업(상중하)1800 - 1900: 저녁 식사 1900 - 2100: 키워드 공부 - 삽입정렬, 이진삽입정렬 - 백준 1920 문제 풀이2100 - 2200: TIL, 내일 계획 2200 -2300: 코어타임 오늘 목표 큐 재귀 알고리즘 하노이 탑 8퀸 문제 정렬 알고리즘 버블 정렬 단순 선택 정렬 단순 삽입 정..
0700 - 0830: 파이썬 문법 학습 0900 - 1015: 운동 헬스장이 늦게 열러서 실패 → 시간대를 반드시 여는 시간(ex. 저녁 먹기 전 등)으로 옮겨야 할 것 같다. 밥 먹기 전에 헬스를 했다. 헬스를 하는데 시간이 얼마 없었다. 30분 정도를 하니 약속시간이 되어 나가야했다. 가능하면 아침에 운동을 마무리하는 게 하루를 지속적으로 보내는 데에 좋을 것 같다. 1000 - 1040: TIL 양식 세우기 깃헙 페이지로 처음에 설정을 하려고 했지만 공부해야할 것들이 많아 포기했다. 현재 정글 커리만으로는 시간이 남지 않았길 때문이다. 따라서 쉽게 포스팅을 할 수 있는 티스토리를 기록용 블로그로 설정했다. 스킨은 무난하게 hELLO 스킨을 사용했다. 스킨이 깔끔하기도 하고 마크다운으로 글을 쓸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