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API

🔎 RestAPI란?

  • API: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
  • RestAPI: HTTP 프로토콜 기반으로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대한 API

✍️ API

API는 컴퓨터에게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이다. 쉽게 얘기하면 함수이다. 예를 들어 파이썬의 print(”Hello”), 자바스크립트의 console.log(”Hello”) 모두 API로 볼 수 있다.

✍️ RestAPI

RestAPI는 자원(Resource) 중심

RestAPI는 웹을 통해 연결 된 다른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이다. 네이버, 카카오 모두 인터넷을 통해 연결 된 서비스다. 그리고 그 서비스들도 컴퓨터 위에서 실행된다. 사용자가 네이버 등을 사용할 때 인터넷을 타고 네이버에게 데이터를 받는데 이때 사용자의 컴퓨터가 RestAPI를 통해 데이터(자원)을 받는 것이다.

 


🔎 RestAPI의 구조

  • URI
  • HTTP 메서드

✍️ 리소스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는 데이터를 리소스라고도 한다.

데이터들은 주제에 따라 묶음으로 존재한다. 묶음 전체를 컬렉션(collection), 원소 하나하나를 element라고 한다. collection는 복수형을 쓰고 element는 단수형을 쓴다.

✍️ URI(Unified Resource Identifier)

클라이언트가 자원의 식별자(Identifier)를 갖고 있다면 서버로부터 자원을 받을 수 있다. 식별자는 쉽게 말하면 이름, 주소이다.

/users/123/orders
  • users: 사용자 컬렉션
  • 123: 사용자 element
  • orders: users/123인 사용자가 한 주문들

URI는 물건처럼 이름을 지어야한다. 말그대로 자원이기 때문이다. 아래처럼 이름을 지으는 것은 좋지는 않다.

GET /getUsers

✍️ 메서드

메서드란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이다.

Create -> Post
Read -> Get
Update -> put/patch
delete -> delete